몬스테라는 덩굴성 대형 관엽식물로 6~8m 까지 자라는 대형 식물입니다. 대형 몬스테라의 경우 잎이 완전히 성장하면 지름 1m까지 자랄 수 있습니다. 잎은 크고 광택이 나며 잎맥 사이에 군데군데 타원형의 구멍이 파여 있어 폭우나 강한 바람에도 견딜 수 있는 구조로 발달됐습니다. 구멍이 난 형태의 잎을 통상 찢잎이라 부르는데 몬스테라 유모는 잎이 찢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성장하면서 잎이 찢어지는 형태가 됩니다. 몬스테라가 좋아하는 흙 상토에 펄라이트, 왕겨, 바크 또는 코코칩을 사용해서 혼합해 주면 몬스테라가 좋아하는 최적의 상태가 됩니다. 최근 국내에서 유통되는 상토는 실내 원예에 최적화되어 있는 흙으로 코코피트의 비율이 50%가량 되고 유기물, 무기물, 비료가 적당히 포함되어 있어 실내에서 키우는 식물에..
과습이란 무엇인가요? 과습이라는 말은 영어로는 over watering이라고 하는데 이는 흙 속에 수분이 너무 많은 상태를 말합니다. 물을 많이 줘서 뿌리가 썩어서 죽어가는 게 과습이라고 생각하는 분들이 계실 텐데, 정확히는 물이 많아서 뿌리가 썩는다기 보다 물이 정체되어서 부패균이 번식해서 뿌리가 썩는 게 맞습니다. 물이 많이 줘서 죽는다면 수경재배나 저면관수 같은 방식은 식물을 모두 죽일 수 있는데 실제는 물속에 담가도 잘 사는 식물이 많습니다. 흙이 젖은 채로 시간이 오래되면 흙 속의 공기 흐름이 나빠져 산소가 부족해집니다. 정체된 화분 안은 부패균이 번식하기 좋은 상태가 되어 세균이 증가하면서 뿌리가 썩기 시작합니다. 물이 정체가 되는 이유는 식물은 광합성(빛을 받아 성장하는 과정) 과정에 물이 ..
저면관수는 오랫동안 물을 안 줘서 흙이 바짝 말라 물이 흡수가 안될 때 한 번씩 해주는 게 좋습니다. 물주는 방식은 위에서 물을 충분히 흠뻑 뿌려주는 방식이 흙에 소금과 미네랄이 쌓이지 않게 씻어내려줘서 가장 좋습니다. 물을 흠뻑 준다는 건 화분 물구멍으로 물이 쭉 빠져 나올 정도로 주는 것으로 속흙까지 충분히 물을 적셔주고 뿌리에서 배출되는 노폐물과 과잉 염류도 배출 시켜줍니다. 한국은 저면관수(Bottom Watering) 방식으로 화분 아래쪽에 물을 고여 천천히 흡수시키는 방식을 저면관수라고 하는데, 외국은 화분을 아예 물에 담가 버리는 방식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낙엽이나 병해충을 씻어내는 방식으로 화분을 물에 잠수 시키는 방식을 사용하기도 합니다. 저면관수(Bottom Watering)란? 저면관..
너무 더운 여름은 식물들 가지치기를 가능하면 안하시는 게 좋습니다. 이유는 식물도 여름에는 휴면기에 들어갑니다. 보통 겨울에만 휴면기를 갖는 줄 알지만 기온이 30도가 넘어가는 기간이 길어지면 성장을 멈추고 휴식을 하게 됩니다. 모든 식물이 그렇지는 않지만 대다수의 한국 실내에서 키우는 식물들은 유사합니다. 분갈이나, 가지치기는 식물에게 상당한 부담과 스트레스를 줍니다. 식물 가지치기는 나무나 꽃 등 다양한 식물들을 건강하게 자라도록 도와주는 작업입니다. 식물 가지치기를 통해서 우리 삶 속에서도 불필요한 부분을 잘라내는 일이 얼마나 중요한지 알아보고자 합니다. 식물에게 가지치기가 왜 필요할까요? 식물마다 생장 속도가 다르고 성장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어떤 식물은 가지치기를 하지 않아도 건강하게 자라기도 ..